영어논문(15)
-
[영어논문 작성법] 7. Methodology_서울에 가더라도, 모로 가면 안 된다
‘모로 가도 서울만 가면 된다’는 말처럼 요즘은 목적이 모든 수단을 정당화해주는 듯하다. 기업의 (혹은 개인의) 이윤 추구를 위해서는 다른 사람의 인권 따위는 안중에도 없고, 자식의 성적을 위해서는 정답지 빼돌리는 것쯤은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는 세상이다. ‘뭐, 다들 그러니까’라는 말도 안 되는 핑계를 대면서. 일찍이, 우리가 여전히 살고 있는 황우석의 나라에서는 과학 분야에서도 샘플 바꿔치기나 논문 조작과 같은 희대의 사기극이 벌어지기도 했다. 그러나 자연과학이든 사회과학이든 연구에서는 원칙적으로 ‘서울’이라는 미리 정해진 목적지가 따로 없고, 그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어떤 길이든 괜찮다는 관용의 여지도 넓지 않다. 물론, 방향이 미리 정해져 있지 않다는 것뿐이지, 연구에는 검증이 필요한 가설이 ..
2023.04.01 -
[영어논문 작성법] 6. Research Question _ 멍청한 질문은 없다. 그러나 연구할 만한 가치가 있는 질문은 있다.
“There’s no such thing as a stupid question.” 멍청한 질문은 없다는 뜻이다. 그러나 실제로 내가 좀 이상한 질문을 하면 선생님들은 대부분 일단 이상한 눈초리로 나를 쳐다봤고, 빨리 수업이 끝나기를 바라는 다른 학생들은 또 시작이라며 수군대기 시작했다. 그런 교육 환경과 맞지 않는 나의 학습 태도는 대학과 대학원에 가서도 나아질 기미를 보이지 않았다. 미국에서도 역시 과정을 다 밟고 난 뒤에 서서히 연구 거리를 찾아 나서는 다른 대학원생들과 달리, 난 첫 학기부터 스스로 연구에 대한 질문을 던지고 답을 찾아다녔다. 아이러니하게도 그런 이상한 호기심 덕분에, 난 졸업 전에 논문이 두 편이나 게재되는 더 이상한 사건의 주인공이 되었다. © epicantus, 출처 Unspl..
2023.04.01 -
[영어논문 작성법] 5.Literature Review _ 거인의 어깨에 올라서서 더 넓은 세상을 바라보라
석사 논문을 준비하던 시절 논문 심사를 얼마 앞두고 내가 쓴 논문을 검토하시던 지도 교수님이 물으셨다. “왜 네 논문에는 인용이 하나도 없냐? 이게 전부 다 네 생각이야?” 학부 때부터 대충 다른 자료나 책을 무턱대고 베껴 리포트를 내던 버릇을 고스란히 가지고 있던 나는, 대학원생이 되어서도 당최 인용이 뭔지 왜 그런 걸 써야 하는지 알지 못했다. 물론, 그때까지 누구도 나에게 그것에 대해 가르쳐 준 적이 없었다. 또 인용한 자료에 대한 정확한 기록을 논문의 마지막에 ‘참고문헌’이나 ‘References’라는 이름으로 넣어줘야 한다는 사실도 몰랐다. 결국, 논문 쓰기에 그렇게 무지했던 나는 부족한 석사 논문을 완성하느라 한 학기를 더 다녀야 했고, 더불어 이미 결정되어 있던 박사과정 입학도 취소되는 어처..
2023.04.01 -
[영어논문 작성법] 4. Introduction _ Introduction이 Introduction이어야 하는 이유
논문에서 Introduction의 의미와 역할은 그 단어를 어원에 따라 “in+tro+duc+tion”으로 분리해 보면 더 정확히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안+으로+이끌다+(명사)”라는 각 의미 단위들의 뜻을 헤아려 보면 전체 의미가 금방 이해된다. 논문에서 Introduction은 독자를 논문 안으로 이끄는 역할을 해야 한다는 뜻이다. 그러나 요즘처럼 예쁘고 신기한 것들이 세상 천지에 널려있는데 사람들의 주목을 글 안으로 끌어들이기란 쉽지 않다. 더욱이, 논문처럼 딱딱한 글로 사람들의 관심을 모으는 것은 만만치 않은 일이다. 같은 맥락에서, 국어 논문에서 사용하는 “도입(導入)”이라는 표현도 결국에는 “이끌어(導)” “들인다(入)”는 뜻으로, 논문에서 Introduction을 쓰는 이유와 비슷한 증..
2023.04.01 -
[영어 논문 작성법] 1. Abstract _ 얼굴만 보고 사귀는 것은 위험하다
나에게 'abstract'는 'concrete'의 반대말로 '추상적인' '관념적인'이라는 뜻을 가진 영어 단어였다. 적어도, 대학원에 진학하면서 영어 논문이라는 것을 찾아보기 전까지는. 물론, 나의 영어 실력이 시험에 자주 나오거나, 암기하기 쉽도록 반의어들을 쌍으로 묶어서 외우는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했다는 점은 인정한다. 그러나 굳이 사전을 찾아봐도 맨 먼저 등장하는 형용사를 지나, 관련 명사를 거쳐 가장 마지막 항목에 나오는 뜻까지 굳이 찾아 외울 필요는 없었다. 더욱이, summary라는 아주 훌륭하고 간단한 대체어가 있는데도, abstract의 '요약'이라는 뜻을 추가로 암기하기에는 내가 외워야 할 영어 단어들이 이미 너무 많았다. 외워도, 외워도 끝이 없는 영어 단어여! © xps, 출처 ..
2023.04.01 -
[영어논문 작성법] 3. Journal Selection II _ SCI"급" 저널에 대한 성"급"한 일반화
논문을 잘 쓰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 논문을 다른 사람들에게 읽혀서 본인의 주장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논쟁을 불러 일으키는 것이 더 중요하다. 혼자만 연구해 혼자만 알려는 목적이 아니라면, 논문을 다른 사람들에게 읽히고 또 그들의 논문에 인용되게 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학술지, 즉 저널에 게재하는 것이다. 그래서 많은 학자들이 참고하고 인용하는 저명한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하는 것은 쉽지 않고 거절되지 않더라도 두, 세번 수정을 거치는 것은 기본이다. 가끔 뉴스에 등장하는 어떤 교수의 논문이나 요즘 한창 뜨거운 이슈인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나 모더나(Moderna)의 코로나 백신에 관한 논문이 세계적으로 유명한 저널에 실렸다는 보도는 그만큼 심사 절차가 까다롭고 엄격한 저널의 검증 절차를 통..
2023.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