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논문(15)
-
[영어논문 장성법] 2. Journal Selection - 목표 저널 선택이 반이다
학문의 모든 과정이 그렇듯이 목표 저널을 선택하는 것은 쉽지 않다. 저널의 가짓수도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많으며, 그 각각의 저널이 저자들에게 요구하는 바도 다 다르다. 하다 못해, 저널의 길이도 2000자에서 1000자까지 혹은 700자 정도로 왔다 갔다 한다. 따라서 본인이 준비 중인 논문의 수준과 공동 집필에 참여하게 될 지도교수와의 협의를 통해, 미리미리 적절하고 타당한 저널을 한 개 혹은 두세 개 선택하는 것이 논문 준비의 시작이자, 그 반이다. 어린 시절 일요일 아침이면 나를 TV 앞에 붙들어 놓은 것은 다름 아닌 만화영화였다. 지금처럼 VOD는 고사하고 DVD나 VCR도 흔하지 않던 그 시절, 꿈과 희망이 넘쳐나던 나에게 일요일 아침 시간은 공짜로 만화영화를 즐길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었다...
2023.03.27 -
[영어논문 작성법] 0. 꼭 논문을 영어로 써야 한다면
사람들은 대부분 논문 쓰는 것을 싫어한다. 학사, 석사, 아니면 박사 과정을 마쳤으니 논문을 쓰고 (물론, 통과가 되면) 졸업을 하라는 학사행정절차에 따라 논문을 쓰는 것이지, 스스로 원해서 논문을 쓰는 사람은 학문이나 연구를 업으로 삼는 교수나 연구원들을 제외하고는 없을 것이다. 하물며, 교수나 연구원들도 학교나 연구소에서 논문을 내라고 하니까 혹은 업적이나 승진을 위해 쓰는 것이지, 정말 지적 탐구심이 충만하여 논문을 쓰거나 게재에 힘쓰는 사람은 분명 많지 않다. 일견, 일기 쓰기도 수월하지 않은 판에, 무슨 논문이랴. 지레짐작으로도 연구 성과를 어려운 용어와 수식과 논리로 써 내려간다는 것은 만만치 않은 일이다. 더욱이, 목표 저널이 원하는 형식에 맞추어 글을 쓰고, 스스로 선택한 연구에 정..
2023.03.27 -
[영어논문 작성법] 영어논문 작성법을 시작하면서
말하기의 궁극은 설득하기이고, 글쓰기의 끝판왕은 논리적 글쓰기이다. 같은 맥락에서 영어로 논문 쓰기는 영어로 글쓰기의 정점이 아닐까 싶다. 시나 소설 같은 문학작품은 후천적인 노력 보다 선천적인 재능이 더 중요하다고 가정한다면. 그러나 예외적으로, 과 을 저술한 움베르토 에코처럼 문학과 학문 두 분야에서 모두 두각을 나타내는 사람이 없지는 않다. 논문 쓰기가 전문가들의 전유물은 아니다. 대학이나 대학원에서 쓰는 리포트가 논문 쓰기의 기본이 되며, 학교를 졸업하기 위해 써 봤을 법한 학위 논문이 기초적이기는 하지만 그 범주에 속한다. 물론, 세계적인 저널에 논문을 게재하려면 한 가지 주제에 대한 연구에도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입해야 하겠지만, 그 결과물을 영어로 써내려 가는 과정도 무척이나 지난한 과정이다..
2020.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