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4. 15. 02:43ㆍ영어논문
원어민 교사와 비원어민 교사가 학생들의 영어에 미치는 영향
가르치는 사람의 모국어는 가르치는 대상의 영어 실력 향상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굳이 원어민이 아니더라도 영어를 가르치는 데는 문제가 없다는 뜻이다. 심지어 발음을 가르치는 것도 그렇다. 어떻게 가르치는 것을 알고 잘 적용하는지가 더 중요하다.
Golombek, P. R., & Jordan, G. (2005). Native and nonnative teachers of L2 pronunciation: Effects on learner performance. TESOL Quarterly, 39(2), 235-266.
Both native and nonnative language teachers often find pronunciation a difficult skill to teach because of inadequate training or uncertainty about the effectiveness of instruction. But nonnative language teachers may also see themselves as inadequate models for pronunciation, leading to increased uncertainty about whether they should teach pronunciation (Golombek & Jordan, 2005). Although studies have regularly shown that instruction is effective in promoting pronunciation improvement (Saito, 2012), it is not known if improvement depends on the native language of the instructor, nor if learners improve differently depending on whether their teacher is native or nonnativ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teachers’ first language on ratings of change in accentedness and comprehensibility. Learners in intact English classes were taught one class by a nonnative- and one by a native-English-speaking teacher. Each teacher taught the same pronunciation lessons over the course of 7 weeks. Results show that native listeners’ ratings of the students’ comprehensibility were similar for both teachers, despite many learners’ stated preference for native teachers. The results offer encouragement to nonnative teachers in teaching pronunciation, suggesting that, like other language skills, instruction on pronunciation skills is more dependent on knowledgeable teaching practices than on native pronunciation of the teacher.
원어민 교사나 비원어민 교사나 발음을 가르치는데 비슷한 어려움을 느끼지만, 특히 비원어민 교사는 자신의 발음이 학생들에게 적절하지 않은 모델이 될까 더 큰 불안함을 느끼게 된다.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면 발음 교육이 확실히 발음을 좋게 하는데 효과적이지만, 교사가 원어민인가 비원어민인가에 따라 그 효과가 달라진다는 결과는 없다. 본 연구는 강세의 유무와 이해도를 기준으로 교사의 모국어가 학생들의 실력 향상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를 탐구했다. 7주에 걸쳐 원어민 교사가 한 시간 비원어민 교사가 또 한 시간, 학생들에게 발음 수업을 가르쳤다. 연구 결과, 많은 학생들이 원어민 교사를 선호했음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의 이해도 평가 결과는 두 교사에게 모두 비슷했다. 이런 결과는 비원어민 교사들에게 힘이 되는 것으로, 다른 언어 기술과 마찬가지로 발음에 대한 강의도 교사의 발음보다는 얼마나 잘 가르치는가에 달려 있다는 뜻이다.
위의 연구가 보여주듯이, 가르치는 사람의 발음은 발음을 가르칠 때조차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 더 중요한 것은 발음을 어떻게 하는지 알고 또 어떻게 가르치는지 아는 것이다. 물론, 그 지식을 어떻게 응용하여 전달할 것인가도 중요하다. 따라서 발음에 자신이 없는 엄마들도 발음이 좋지 않아서 아이에게 잘못된 발음을 가르치게 될까 걱정할 필요는 없다. 걱정하고 외면하고 다른 사람에게 떠넘기기보다는, 스스로 더 많이 준비하고 아이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다면 엄마가 아이에게는 원어민 못지 않은 멋진 선생님이 될 것이다.
'영어논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 사전을 이용한 독해의 효과 (0) | 2023.04.18 |
---|---|
ESL/EFL 학생들을 위한 인지와 메타인지 읽기 전략에 관한 연구 (0) | 2023.04.16 |
[영어논문 작성법] 8. 결과냐, 논의냐, 그것이 문제로다 (1) | 2023.04.01 |
[영어논문 작성법] 7. Methodology_서울에 가더라도, 모로 가면 안 된다 (0) | 2023.04.01 |
[영어논문 작성법] 6. Research Question _ 멍청한 질문은 없다. 그러나 연구할 만한 가치가 있는 질문은 있다. (0) | 2023.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