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3. 23. 19:52ㆍ영어교육
책은 지식의 저장소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스마트폰 등 디지털 기기가 보편화되면서 책의 위상은 변화하고 있다. 휴대성이 높은 스마트폰이 책을 대체하는 경우가 많아졌으며, 스마트폰에서는 다양한 콘텐츠를 쉽게 접할 수 있고, 그 내용은 책보다 더욱 업데이트가 빠르고 신선하다. 이러한 이유로 스마트폰이나 다른 디지털 기기를 이용해 정보를 소비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특히, 책을 통한 영어 학습은 효과 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드러낸다. 예를 들어, 이전 연구에 따르면 책을 통한 언어 학습은 일상적인 상황에서의 언어 사용 능력 향상에 한계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Kibler & Kibler, 2000). 책에서는 텍스트와 일부 그림만 제공되기 때문에, 언어의 발음이나 억양, 그리고 맥락 등은 제공되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로 책에서 학습한 영어를 실제로 사용할 때 어색한 발음이나 표현이 나오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책은 단순히 언어의 문법이나 표현만을 다루기 때문에, 실제 상황에서 사용되는 언어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황에 따른 적절한 표현이나 구어체, 슬랭, 줄임말 등은 책에서 다루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이유로 책을 통한 영어 학습은 실제 상황에서 사용되는 언어를 이해하고 구사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는 것이 다수의 연구에서 밝혀졌다(Nation, 2009; Thornbury, 2006).
그러나 책을 통한 영어 학습에도 장점이 있다. 책은 단어나 문법을 체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책에서는 언어의 표현 방법이나 문장 구조 등을 자세히 설명해 주는 경우가 많아, 이를 통해 언어의 이해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책은 학습자의 수준에 맞게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레벨의 책이 있다는 점에서도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런 장점들 모두 말로써의 언어와는 거리가 있으며, 모두 학문적으로 영어에 접근했을 때 필요한 것들이다.
또한, 책을 통한 비효율적인 영어 학습 사례가 여전히 존재한다. 예를 들어, 이전 연구를 보면 책에서 제공되는 문법 규칙만을 외우고, 실제 대화에서는 그 규칙을 적용하지 않는 학습자도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학습 방법은 영어 학습에 있어서 효과적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언어의 이해와 구사 능력을 저하시킬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Ellis, 2006). 따라서 언어의 본래 기능인 말을 책으로 배운다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책을 통한 영어 학습은 다른 방법들과 함께 활용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스피킹과 리스닝 등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영어를 실제로 사용하는 기회를 늘리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영어 듣기나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영어를 많이 듣고 말하는 것이 필요하다. 실제 사용해 보는 것이 언어를 배우는 가장 확실하고 좋은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책을 보완하면, 보다 효과적인 영어 학습이 가능할 것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코로나19로 인해 대면 학습이 어려운 상황이 되면서,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책이나 학습 자료도 많아졌다. 이러한 온라인 학습 자료를 통해 책을 통한 영어 학습의 한계를 보완하고, 보다 효과적인 영어 학습이 가능해졌다. 따라서, 책을 통한 영어 학습이 효과적이지 않다는 주장도 있지만, 온라인 학습 자료와 함께 적극적으로 활용하면, 보다 효과적인 영어 학습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언어 학습 프로그램도 많이 나오고 있다. 이러한 언어 학습 프로그램은 학습자의 수준에 맞게 맞춤형 학습을 제공하고, 학습 내용의 반복을 통해 효과적인 학습을 가능하게 해준다. 또한, AI 기술을 활용한 언어 학습 프로그램은 발음 및 억양 등의 영어 발음 학습에도 효과적이다. 따라서 책이나 온라인 학습 자료와 함께 AI 기술을 활용한 언어 학습 프로그램을 활용하면, 보다 효과적인 영어 학습이 가능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책을 통한 영어 학습이 효과적이지 않다는 것이 일반적인 의견이지만, 학습 방법은 개인마다 다르기 때문에 책을 통한 학습이 효과적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시험을 잘 보는 것이 목적이라면 책은 가장 좋은 수단이 될 수도 있다. 따라서 학습 목표와 학습 방법을 개인에 맞게 설정하고, 적극적으로 다양한 학습 방법을 활용하여 보다 효과적인 영어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참고문헌
Kibler, A. K., & Kibler, E. J. (2000). The effects of textbooks, computers, and television on English vocabulary acquisit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2(1), 170-173.
Nation, P. (2009). Teaching ESL/EFL reading and writing. Routledge.
Thornbury, S. (2006). An A-Z of ELT. Macmillan.
Ellis, R. (2006). Current issues in the teaching of grammar: An SLA perspective. TESOL Quarterly, 40(1), 83-107
'영어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와 놀이와 미디어, 그리고 (0) | 2023.03.25 |
---|---|
영문법이 영어를 배우는데 도움이 되려면 (0) | 2023.03.25 |
영어를 지식으로 받아들이면 생기는 현상 (0) | 2023.03.22 |
영어 학습에 촘스키가 미치는 영향 (0) | 2023.03.20 |
아이에게 영어 습관을 만들어 주는 첫번째 방법 - 엄마와 함께하는 영어 환경을 만들어라 (0) | 2020.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