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학(38)
-
촘스키와 영어 교육: 영향력과 한계에 대한 고찰
촘스키와 영어 교육: 영향력과 한계에 대한 고찰 노엄 촘스키(Noam Chomsky)는 현대 언어학의 아버지로 일컬어지며, 구문 구조에 대한 설명과 언어 습득 및 처리 메커니즘에 대한 통찰로 생성주의 언어학(Generative Linguistics)를 주장하며 언어학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그의 연구는 언어학에 일대 변혁을 가져왔으며 영어학, 특히 통사론에서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해 왔다. 그러나 영어 교육에 대해서는 한계점을 노출하면서 많은 비판을 받았다. 이 글은 촘스키가 영어학과 영어 교육에 미친 영향력과 결정적 시기 가설(Critical Period Hypothesis)을 중심으로 그 한계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1. 촘스키가 영어학에 미친 영향력 촘스키는 그동안 주류 언어학이었던 구조주의를 비판..
2023.04.14 -
영어는 거리에서 태어났다
영어는 거리에서 태어났다 처음 석사과정으로 대학원에 입학했을 때, 난 언어학에서 언어를 다루는 방법, 즉 설명하고 묘사하는 접근법을 도무지 이해할 수 없었다. 이미 영어를 가르치고 번역하는 일에 발을 담그고 있던 나는 규범적 언어학 관점으로 영어에 접근하고 있었다. 그래야 올바른 기준으로 영어문장을 파악하고, 한국어로 더 매끄럽게 해석할 수 있었다. 더욱이, 확고한 영문법을 바탕으로 단단한 영어 지식에 길들여져 있던 나는 학생들에게도 문법적으로 옳은 것과 옳지 않은 것을 구별하는 법을 가르치고 있었다. 그런 나에게 있는 그대로의 영어를 분석하고 설명하는 것은 별로 의미가 없어 보였다. 정해진 영어 문법과 규칙을 따라야지, 왜 이상하고 불완전한 영어를 분석하고 연구하는 건지 알 수 없었다. 그래서 몇 번 ..
2023.04.14 -
English의 복수형은 Englishes가 아니다
English의 복수형은 Englishes가 아니다 문법책을 뒤져 보더라도 언어는 셀 수 없는 명사라서 English에는 부정관사를 붙이거나 수 표현을 하지 않는다. 즉, 앞에 an을 쓰거나 뒤에 es를 붙이지 않는다는 말이다. 가끔 Koreans나 Americans라는 표현을 쓰기도 하지만 그것을 그 나라 사람들을 나타내는 말로 셀 수 있는 형태로 의미가 변화한 것이다. 언어라는 의미로는 어디까지나 단수형을 쓴다. 언어는 당연히 하나라고 생각해서 그런 것이다. 우리말로도 영어들이나 국어들이라는 표현은 어색하다. 물론, 수를 크게 신경 쓰지 않는 우리말의 특성상 복수를 “들”이라는 접미사를 붙여서 표현하는 것 자체가 더 어색하다. 그래서 난 책이 많지, 책들이 많지는 않다. English는 발생 초기에 ..
2023.04.14 -
영어의 음운론적 특성이 한국 학생들의 영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한국어와 영어는 서로 다른 언어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음운론의 관점에서 볼 때 두 언어 간의 차이는 매우 크다. 이러한 언어 간 차이는 한국 학생들이 영어를 배우는 과정에 영향을 미쳐 다양한 어려움에 빠뜨리기도 한다. 이 글에서는 영어 음운론이 한국 학생들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 장애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과 그 중요성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다. 1. 한국어와 영어의 음운론적 차이 먼저 한국어와 영어의 음운론적 차이를 살펴보면, 우선 두 언어의 음소 체계의 차이가 크다. 음소란 한 언어에서 뜻을 구분하는 최소의 소리 단위를 일컫는다. 우선, 한국어는 자음 및 모음의 발음이 서로 가깝거나 거의 같으며, 발음을 구분하는 대신 음절의 구성 방식이 매우 단순하다. 한편, 영어는 자음 및 모음의 발..
2023.04.13 -
주어 없는 영어는 없다
영어는 주어 자리가 중요하다. 그래서 가끔 의미적으로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 there나 it가 그 자리를 채우기도 한다. 그러나 우리말은 서로 알고 있으면 다 생략해 버린다. 반복되거나 알고 있는 주어를 다시 쓰거나 대명사로 받는 것이 더 어색하다. 특히, 대화할 때에는 “너”나 “나”나 “당신”이나 “저”는 빼는 것이 자연스럽다. 또한, 영어는 rain처럼 한 단어에 의미적으로 주어와 동사가 함께 들어있는 경우도 있다. 그래도 주어 자리는 it으로 채워야 한다. 영어는 주어가 서술어보다 길면 뒤로 보내고, 그 자리에 it을 쓰기도 한다. 빈 주어 자리를 채워야 하기 때문이다. 대명사가 아니다. 이런 문장에서 서술어는 대부분 be동사와 형용사로, 구나 문장으로 이루어진 주어에 비해 짧다. There를..
2023.04.02 -
물어보고 싶은 게 있으면 주어와 동사를 뒤집어라
영어 질문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Yes나 No로 답하는 Yes/No question과, 질문받은 사람의 생각이나 의견이 필요한 wh- question이 그 둘이다. 영어 의문문의 가장 큰 특징은 일반적인 문장과 달리 동사가 주어 앞에 온다는 것이다. 즉, 도치(倒置)다. 그러나 우리말은 의문문이라고 특별한 어순의 변화가 없다. 종결 어미를 의문형으로 바꾸어 주고, 혹시 특정하게 알고 싶은 것이 있으면 중간에 적절한 의문사를 넣어주면 그만이다. 앞선 글에서 이야기한 것처럼 영어는 우리말보다 어순이 중요하기 때문에, 주어와 동사의 자리를 바꾸는 것이 상당히 이례적인 일이다. 그래서 주어와 동사의 자리를 바꾸는 방법도 더 복잡하다. 동사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즉, be동사나 조동사는 그냥 주어와..
2023.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