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4. 13. 11:43ㆍ영어교육
한국의 영어 교육은 초등학교 이전부터 대학교를 넘어 성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교과목과 교과서, 그리고 시험을 통해 학생들에게 강요되고 있다. 이러한 영어 교육의 목표는 학생들이 세계와 소통하고 정보를 나눌 수 있는 글로벌 시대에 걸맞은 영어 능력을 가진 인재로 성장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교육 방식으로는 그 목표를 달성하기 어려운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이 글에서는 한국 영어 시험의 존재하는 문제점들과 이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1. 영어 시험 방식의 문제점
먼저, 한국의 영어 시험은 문제 해결에 집중된 서술식 및 객관식 문제가 중심이 되어왔다. 그 대표적인 예가 수능이다. 그리고 다른 모든 시험들은 수능에 맞추어진다. 시험은 제한된 시간 안에 얼마나 많은 문제를 정확하게 풀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앞서 살펴본 영어 교육의 목표와 정면으로 대치된다. 김영민 (2013)의 연구에 따르면 한국의 영어 시험의 문제점 중 하나는 학생들이 문제 풀이 능력만을 쌓게 되어, 실제 영어 의사소통 능력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이러한 상황은 영어를 외국어로 배우는 학생들에게 큰 스트레스를 줄 뿐만 아니라, 실제 영어사용 능력에는 신경을 쓰지 않게 되는 현실과 직면하게 된다.
2. 시험 준비에 치우친 영어 교육
영어 교육이 시험 위주로 진행되다 보니, 영어 시험 준비 과정에서 강조하는 문법, 어휘력, 읽기는 더 이상 영어 실력 자체가 아니라 지식을 더 강조하게 되었다. 따라서 실제 영어 사용 능력을 평가하지 않는 영어 시험은, 학생들이 영어를 사용 목적이 아니라 암기해야 할 지식으로 받아들이게 한 책임이 있다. 그래서 학생들에게 영어는 의사소통을 위해 사용하는 도구가 아니다. Moon & Park (2011)이 주장했다시피, 교육과정 중심의 시험은 학생의 전반적인 영어 실력을 평가하기 어려우며, 부분적인 지식을 과잉 측정할 수 있다. 그래서 한국에서 공부한 영어를 실제로 활용하기 어려운 경우도 많다.
3. 다양한 학습 배경의 평가 미고려
한국의 영어 시험은 학생들의 다양한 영어 학습 배경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는다. 학생들의 성장 배경을 고려하지 않은 영어 교육이나 시험은 불평등을 초래할 수밖에 없고, 많은 부모들이 자녀들을 어렸을 때부터 영어 유치원과 유학 길에 들어서게 하는 원인이 된다. 예를 들어, 어학연수나 유학 경험을 통해 실용 영어에 능숙한 학생들은 기존 시험 체제에서 상대적으로 평가하기 애매한 인물이 된다. 정한나 (2019)의 연구에 따르면 다양한 영어 학습 배경을 갖는 학생들의 실력을 동일한 척도로 반드시 평가하는 것이 공정하지 않을 수 있으며, 교육 방식의 변화가 반드시 시행되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4. 영어 시험의 개선 방안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고려할 때 우선, 영어 시험의 문제점에 대한 대안으로, 의사소통 능력 중심의 평가 체계를 개발해야 한다. 그동안 영어 시험의 중심이 되었던 문법과 독해 위주의 시험에서 벗어나 의사소통 능력을 평가하는 기준과 체계가 준비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영어 면접이나 구술 평가를 통해 학생들의 실전 영어 능력을 평가하는 것이다(Farhady & Hedayati, 2014). 시험이 이렇게 변화한다면 당연히 학생들도 영어 학습에 있어 의사소통 능력에 중점을 두게 된다.
두 번째 개선 방안은 다양한 교육 방식을 도입하는 것이다. 한 사람의 교사가 다수의 학생들에게 일방적인 강의를 진행하는 전통적 영어 수업 방식에서 벗어나는 것이 먼저다. 예를 들어, 교실에서 진행되는 몰입형 프로젝트, 외국인 교사들과의 원어민 실습 수업, 영어를 사용하는 실제 상황을 연출하는 런지 시뮬레이션 등의 기법을 활용해 다양한 학습 배경의 학생들에게 맞춤형 영어 교육을 제공한다(Kim & Jung, 2016).
마지막으로, 현재의 시험 지향적인 영어 교육에서 학습자 중심의 교육 방식으로 전환해야 한다. 배경과 요구가 다양한 학생들의 수준과 성향에 맞추어 기존의 수업과 시험 방식을 다양화하고, 학생들이 실생활에서 영어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탐구하도록 지원해야 한다 (Choe, 2015). 수준별 수업이나 맞춤형 교육은 더 이상 교육의 이상이 아니라, 새로운 IT기술과 다양한 도구들을 활용하여 실천할 수 있는 현실이다.
결론적으로
한국의 영어 시험은 더 이상 지금처럼 학구열과 점수 경쟁의 도구로 사용되어서는 안 된다. 올바른 영어 교육의 목표에 맞게 세계화 시대에 걸맞은 적절한 인재를 양성하고, 스스로 학습하고 성장할 수 있는 학습자를 만드는 것이어야 한다. 이렇게 유연하고 실용적인 도구로써의 영어에 대한 활용 모델을 만드는 것이, 한국 영어 교육의 발전과 목표의 가치가 되어야 한다.
'영어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 단어 외울 시간에 문장을 더 많이 봐야 하는 이유 (1) | 2023.04.18 |
---|---|
영어는 마라톤이 아니라 차라리 걷기다 (3) | 2023.04.16 |
스마트폰보다 종이 사전이 공부에 더 좋은 이유 (0) | 2023.04.12 |
영어로 잘 말하는 방법 (2) | 2023.04.12 |
경기도교육청의 학교폭력 실태조사의 한계와 대안 (0) | 2023.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