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4. 29. 16:35ㆍ영어논문
좋은 부모가 되고 싶다면 아이가 영어를 잘하도록 키워라
Kendall King & Lyn Fogle (2006) Bilingual Parenting as Good Parenting: Parents' Perspectives on Family Language Policy for Additive Bilingualism, International Journal of Bilingual Education and Bilingualism, 9(6), 695-712, DOI: 10.2167/beb362
This paper investigates how parents explain, frame and defend their particular family language policies. We focus here on 24 families who are attempting to achieve additive Spanish-English bilingualism for their children, an aim which in many cases requires parents to use and to teach a language that is not their first language, nor the primary language of the home or wider community. We explore how parents make these decisions; how parents position themselves relative to expert advice and other members of their extended families; and how these decisions are linked to their identities as good parents. Our data suggest that parents draw selectively from expert advice and popular literature, using it to bolster their decisions in some cases while rejecting it in others. Extended families, in contrast, generally were raised in the interview discourse as points of (negative) contrast. Overall, we find that parents primarily relied on their own personal experiences with language learning in making decisions for their children. Our data further suggest that family language policies for the promotion of additive bilingualism have become incorporated into mainstream parenting practices, but also that these parents' efforts could be better supported.
이 논문은 부모가 가정에서 아이들에게 모국어가 아닌 영어를 가르치고 사용하도록 하는 모습들을 설명하고, 규정하며, 방어하고 있다. 이 연구에는 영어와 스페인어 두 언어를 모두 사용하는 24 가족이 참여했으며, 영어는 그들의 모국어도 아니었고 주변에서 많이 사용하는 언어도 아니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부모들은 주로 자신의 개인적 경험에 의존해 아이들의 언어 학습에 대한 결정을 내렸다. 더욱이, 가정에서 영어를 사용하도록 하겠다는 부모의 결정은 많은 부모들의 일반적인 노력과 결합되어 왔지만, 이런 노력은 사회적으로 더 잘 지원 받아야 할 것이다.
결과 논의 및 실천 방법
아이에게 영어를 가르쳐주고 영어를 배우면 아이의 미래가 더 나아질 것이라는 생각은 영어권 국가들 밖에 거주하는 모든 부모들에게 비슷한 것 같다. 그래서 어린 시절부터 어떻게 영어를 가르치고 또 배우게 할 것인가가 많은 부모들의 숙제이고 고민이다. 이 논문은 가정에서 아이들에게 영어를 사용하도록 하는 부모들의 실제 사례를 연구하고 그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연구 결과를 수치로 명확하게 나타나거나, 연구에 참여한 가정이 다른 일반 가정과 비교해 뚜렷한 성과를 거두었다는 증거는 보여주지 않지만 그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 아니다.
다만 영어를 가정에서 가르치고 사용하게 해서 이중언어 가정으로 만들고자 하는 부모의 노력의 다양한 측면을 보여주는 것이 이 연구의 핵심이다. 그 결과, 부모들이 아이들에게 영어를 가르쳐주려는 노력이 부모의 개인적인 경험과 믿음에 근거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실제로 여러 가정에서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모습을 실제 데이터로 보여주고 있다. 또한, 이런 부모의 노력은 학교나 국가가 더 지원해야 하는 부분이고, 어떻게 지원하는 것이 좋을지도 함께 생각하고 논의해 봐야 할 부분이다.
아이에게 영어를 가르쳐주고 영어를 배우게 함으로써 아이의 미래가 더 나아질 것이라는 바람은 비영어권 국가들에 사는 모든 부모들에게 비슷한 것 같다. 그래서 어린 시절부터 어떻게 영어를 가르치고 또 배우게 할 것인가가 많은 부모들의 숙제이고 고민이다. 이 연구는 가정에서 아이들에게 영어를 사용하도록 하는 부모들의 실제 사례를 연구하고 그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연구 결과를 수치로 명확하게 나타나거나, 연구에 참여한 가정이 다른 일반 가정과 비교해 뚜렷한 성과를 거두었다는 증거는 보여주지 않지만, 그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 아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가정에서 영어를 사용하도록 하고 아이들에게 영어를 가르치는 전략을 파악하고, 이 모습을 통해 다양한 성공 요인을 도출해 내는 것이다. 연구자들은 아이들에게 영어를 가르쳐 주려는 부모의 노력이 부모의 개인적인 경험과 믿음에 근거해 이루어지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전략 및 성공 요인을 제시하였다.
첫째, 부모와 아이 모두에게 일관된 영어 환경을 제공한다. 이 조건은 가정에서 영어로 의사소통하는 것이 자연스럽게 해 줄 뿐만 아니라, 아이들의 사회적 언어 교류 능력을 향상시켜준다.
둘째, 아이와 부모와의 상호작용 및 피드백이 최대한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아이들의 언어 습득에 있어 부모의 역할이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언어 중재 전략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런 부모의 노력은 학교나 국가가 더 지원해야 하는 부분이다.
셋째, 영어에 대한 부모의 긍정적인 태도 및 가치관이 아이들의 영어 학습 동기를 높일 수 있다. 부모들이 영어 학습의 중요성과 즐거움을 아이들에게 전달함으로써, 아이들은 적극적으로 영어로 소통하고 더욱 높은 영어 능력을 키울 수 있다.
이 연구의 핵심은 부모들이 실천할 수 있는 다양한 전략 및 성공 요인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해 영어를 가정에서 가르치고 사용하도록 아이들을 지원하는 부모들에게 실질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학교나 국가에서 어떻게 이러한 가정을 지원하는 방안을 제공해야 할지에 대해 연구와 논의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결과적으로, 부모들의 영어 교육에 대한 노력과 전략에 대한 실제 사례를 연구한 결과, 가정에서 아이들에게 효과적으로 영어를 가르치고 사용하도록 하는 전략 및 성공 요인들이 규명되었다. 이러한 방법들을 실천함으로써 부모들은 아이들의 영어 능력 향상을 촉진할 수 있으며, 아이들은 영어를 무기로 성공적인 미래를 펼칠 수 있을 것이다.
'영어논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 게임이 어휘 습득과 유지에 미치는 영향 (0) | 2023.04.23 |
---|---|
영어 사전을 이용한 독해의 효과 (0) | 2023.04.18 |
ESL/EFL 학생들을 위한 인지와 메타인지 읽기 전략에 관한 연구 (0) | 2023.04.16 |
원어민 교사와 비원어민 교사가 학생들의 영어에 미치는 영향 (0) | 2023.04.15 |
[영어논문 작성법] 8. 결과냐, 논의냐, 그것이 문제로다 (1) | 2023.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