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5. 10. 16:08ㆍ영어학
영어의 문장 형식에서 벗어나는 방법
영어라는 언어는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변화하며 우리의 삶에 깊이 얽혀있다. 학습자들은 때로 이런 변화를 눈치채지 못 하고 여전히 옛날에 공부하던 영문법의 틀 안에서만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그렇다면 어째서 우리는 5형식을 영문법의 절대 기준이라고 믿고 있을까? 이 글에서는 대체적인 이유를 찾아내고, 어떤 영향을 받았는지 그리고 어떻게 더 효과적인 방식으로 영어를 학습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자.
영문법 도입 과정에서 받은 일본의 영향
우리나라에 영문법을 소개한 책들이 대부분 미국이나 영국의 영문법 책이 아닌 일본의 영문법 책을 그대로 베꼈기 때문이다. 그래서 영어문장을 다섯 가지 종류로 나누는 것은 미국이나 영국도 아니고 우리나라도 아닌 일본의 원칙인 셈이다. 우리가 쓰고 있는 모든 영문법 용어들이 한자를 기반으로 한 것도 같은 이유 때문이다. 흥미로운 예로는 미국의 독자적인 시스템 기반의 주어-동사-목적어 구조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예외와 변화에 대한 인식 부족
영어에는 수없이 많은 예외 사항과 변화가 존재하며, 시간이 흐름에 따라 그 예외 사항이 표준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면을 간과하기 쉽게 만든 것이 바로 일본식 영문법이다. 이 구조적인 메커니즘이 실질적인 영어 사용에 어떠한 문제를 일으키는지 한 번 곰곰이 따져봐야 한다. 예를 들어, 영어에서는 품사가 고정되어 있지 않고 바뀔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단어가 여러 품사에 속하는 경우도 있다.
언어의 진화와 다양성
언어는 생명력을 가진 존재로, 동사와 어휘에서의 변화를 비롯해 문법 자체도 끊임없이 새로운 군을 발견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변화하는 맥락에 따라 문장의 뉘앙스를 감지하고 이해하려면, 5형식 이상의 넓은 시야를 갖춰야 한다. 실제 사용법을 간과하여 지나친 형식과 체계에만 의존할 경우 실질적인 의미 전달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변화에 대한 예시로는 높임말, 낮춤말, 옛날 말, 새로운 말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유연성과 탄력성을 갖춘 학습 방식
영어 학습자들은 언어의 진화에 대한 인식을 키워야 한다. 문장 구조를 고정된 형식에 맞추어 5형식만을 중심으로 학습하지 않고, 미리 결정된 형식을 뛰어넘어 변화에 더 적응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학습해야 한다. 이렇게 되면 구조적인 문법 체계를 벗어날 수 있게 되며, 원어민들의 영어 사용 패턴을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일례로 자연스럽게 신조어와 관용어를 습득하고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
실질적인 영어 사용을 위한 문제 인식과 혁신
원어민들 사이에서 자연스럽게 쓰이는 표현이나 문장 구조, 그리고 문화적 요소를 고려하여 학습해야 영어를 의사소통 수단으로 능숙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노출되는 자료와 교육 과정에 다양한 차원의 내용을 포함시켜 학습자들이 다양한 상황에서의 영어 사용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연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실생활에서 마주치는 표현과 그 변화를 꾸준히 업데이트하며, 시대의 흐름에 대응하는 영어 학습을 지속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우리의 영어 학습은 규칙들의 한계인 5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다양한 표현 형태와 문장 구조를 배려하여 진화해야 한다. 또한, 영어를 더 잘 이해하고 능숙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그러면 우리는 좁은 영역의 문법 법칙을 넘어서 언어의 보다 넓은 세계를 향해 나아가게 될 것이다. 이 과정을 통해 우리는 영어의 진화와 다양성을 받아들이게 되며, 그 결과로 살아있는 영어를 풍부하게 표현하고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을 것이다.
'영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Great Vowel Shift의 영어사적 의미 (0) | 2023.05.12 |
---|---|
한국어와 영어의 음운 체계 비교: 영어 교육의 관점에서 본 차이점 (0) | 2023.05.11 |
한국어 음운과 영어 음운의 차이가 영어 교육에 미치는 영향 (0) | 2023.04.27 |
영어의 주어 (0) | 2023.04.26 |
다문화 리터러시 교육(Multicultural Literacy Pedagogy) (0) | 2023.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