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영어의 정확성에 집착하는 이유

2023. 5. 9. 21:50영어교육

728x90
반응형

우리가 영어의 정확성에 집착하는 이유

영어에서 정확성을 목표로 하는 세 가지 가장 큰 원인은 학교에서의 영어 교육, 영어에 대한 제한된 접근성, 그리고 문법에 대한 과도한 집착이다. 이해와 소통에 중점을 두는 일상적인 언어 학습과 다르게, 영어 학습에서 높은 문법 정확성을 추구하는 이유와 그 배경에 대해 다양한 예시와 함께 자세히 알아본다.

 

1. 습관적인 학교 중심의 영어 교육

학교에서는 공부 잘 하는 학생과 못하는 학생들을 구분하기 위해 시험 문제를 낸다. 그리고 우리는 그 결과에 인생이 전부 걸려있다고 믿는다. 이 잘못된 믿음에서 모든 문제가 시작된다. 그런 믿음을 가진 사람이 자라서 부모가 되고 선생님이 되고 똑같은 가치관을 가지고 학생들을 기르고 가르친다. 우리는 영어보다 영어공부가 더 중요하고, 영어공부보다 영어성적이 더 중요한 이상한 굴레를 벗어나지 못한다. 사실, 영어 학습은 외국어를 배우는 목적이 소통 그 자체인 반면, 학교에서의 영어 교육은 교과 과정을 완료하고 시험 성적을 올리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이견이 발생하기 쉽다.

 

2. 제한된 영어 접근성

예전에는 우리나라에 영어 원어민들이 많지도 않았고, 영미 문화를 수입하는 것 자체도 쉽지 않았다. 영화 한 편을 집에서 편하게 보려면 극장에서 개봉하고 비디오로 나오기까지 한 달도 넘게 기다려야 했다. 제대로 된 영어책이라도 한 권 볼라치면 학교 도서관에서 출간된지 10년도 넘은 원서를 빌리든지, 교보에 가서 펭귄북스 고전명작리즈나 한 권 사보는 것이 전부였다. 그 정도로 영어에 대한 접근성이 좋지 않았던 시절. 이로 인해 사람들이 영어를 습득하는 기회가 줄어들고, 영어 학습 자료에 대한 종속도가 높아지면서 문법에 더 큰 중요성을 부여하게 된다.

 

3. 문법에 대한 과도한 집착

문법은 모든 경우에 적용되는 절대적인 법이 아니라, 기본적으로 한 언어의 사용자들이 따르는 규칙을 정리해놓은 것이다. 따라서 언어 사용자들이 현재 지키고 있는 규칙이기 때문에, 어제와 다를 수 있고 내일은 얼마든 바뀔 수 있다. 안 지킨다고 경찰이 잡아가거나 무시했다고 비난을 받지도 않는다. (하긴, 우리나라에서는 영어 못한다고 비난하기도 한다.) 전 미국 대통령 부시는 국민들이 민망해할 정도로 이상한 영어를 사용하면서도 탄핵 한 번 받지 않고 무사히 임기를 마쳤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발음이 조금만 이상하다거나 자기가 아는 것과 다르게 이야기하면 틀렸다고 말한다. 영어에 대한 접근성이 지나치게 좋아져 다들 틀린 것만 잘도 찾아낸다.

 

결론적으로

우리는 영어 학습과 커뮤니케이션에서 더 나은 결과를 얻기 위해 정확성만을 추구하는 조금은 비효율적인 패턴에서 벗어나야 한다. 이를 위해 학습 전략을 변경하고, 학습자들의 목표와 기대치를 재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영어 학습에 대한 태도와 전략을 바꾸어 소통 교육에 더욱 초점을 맞추면, 영어 실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