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5. 16. 15:28ㆍ영어학
영어 습득에 가장 큰 장애가 되는 한국어의 특징 다섯 가지
영어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언어로, 한국인이 배우기 쉽지 않은 언어입니다. 한국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는 영어를 배우는 데 언어적으로 몇 가지 어려움이 존재합니다. 한국어의 특징 때문에 영어라는 새로운 언어를 받아들이는데 어려움이 발생한다는 뜻입니다. 이 글에서는 그러한 어려움의 원인이 되는 한국어의 특징 다섯 가지를 소개하겠습니다.
첫째로, 한국어와 영어는 문법적인 차이가 큽니다.
문장 구조의 차이로 인해 주어-동사 관계와 수식어의 위치 등이 두 언어에서 다르게 배치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한국어의 경우 주어-동사-목적어의 구조가 일반적이지만, 영어는 주어-목적어-동사 순으로 배열됩니다. 한국어와 달리 영어는 동사가 주어 바로 뒤에 옵니다. 이 외에도 영어는 시제 표현을 통해 문장의 의미가 크게 달라지는 반면에, 한국어에서는 상황에 따라 시제가 덜 엄격하게 적용됩니다. 이러한 문법적 차이는 영어 학습에 있어서 많은 어려움을 초래합니다.
둘째로, 발음의 차이가 존재합니다.
한국어와 영어의 발음 체계가 다르기 때문에 일부 한국어에 없는 소리와 영어에 없는 소리가 서로 존재합니다. 영어에는 한국어에 없는 [ð], [þ], [v] 등의 소리가 있는 반면에, 한국어의 모음 ㅡ 나, 시작음으로 나오는 ㄷ와 ㄱ 등은 영어 원어민들에게 쉽지 않습니다. 이런 발음의 차이와 음절 구조의 차이 때문에 한국인들은 영어를 정확하게 발음하기 힘들고, 음을 연결하는 데에도 많은 어려움이 발생합니다.
셋째로, 어휘의 차이로 인한 문제입니다.
한국어에는 높임말, 겸양어 등 규칙이 복잡한 반면에, 영어에서는 이러한 표현이 거의 존재하지 않습니다. 영어에서는 보통 그 이름을 그대로 부르며, 상대방의 지위에 따라 Sir이나 Ma'am 등 호칭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러나 한국어에서는 존대말 때문에 단어와 어미나 조사에서도 매우 복잡한 규칙을 따릅니다. 따라서 한국인들은 영어를 쓸 때 높임말이나 겸양어의 부재에 혼란을 느낄 수 있습니다.
넷째로, 언어 사용에 있어 문화적 차이가 존재합니다.
서술 방식, 비유 표현 등 영어와 한국어는 각각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갖고 있기 때문에, 문화적 배경지식이 부족한 경우에는 혼란스러울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영어는 비유적 표현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그 비유적 표현에는 문화적 요소가 담겨 있기 때문에, 영어권 문화를 잘 이해하지 못하면 그런 영어 표현을 이해하기 힘들 수 있습니다. 당연히 문화적으로 차이가 큰 한국어 사용자들은 이런 표현을 이해하기 힘들고 학습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섯째로, 습득 환경의 차이입니다.
한국과 영어권 국가는 언어 환경이 확연하게 다릅니다. 영어권 국가들은 비교적 언어적, 문화적 교류가 활발하기 때문에, 새로운 언어를 배우고 받아들이는 것이 익숙합니다. 그러나 한국은 단일 언어권이라서, 한국인이 영어를 습득하는 것은 훨씬 더 부자연스럽고 어려울 수 있습니다. 영어를 학습할 때는 영어를 사용하는 경험을 쌓는 것이 중요한데, 영어를 사용해 볼 기회가 적은 한국어 화자들은 영어 습득에 어려움이 더 큽니다.
결론적으로
이렇게 한국어의 특징 중에서 영어를 습득하는데 장애가 되는 다섯 가지의 어려움을 살펴보았습니다. 이러한 어려움을 이해하고 극복하기 위한 태도와 학습법을 함께 찾아갈 수 있으면, 영어 습득에 있어 좀 더 효과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오랫동안 사용하다 보니 익숙해서 고치기 쉽지 않겠지만, 이런 장애를 인식하고 있는 것만으로도 영어를 습득하는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영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 숙어와 문장 패턴의 중요성 (0) | 2023.05.17 |
---|---|
슬랭의 확산에 소설 미디어가 미치는 영향 (0) | 2023.05.16 |
영어와 한국어의 음절구조 차이에 따른 발음의 차이 (0) | 2023.05.16 |
이중 언어 사용의 이점: 인지적, 문화적, 전문적, 개인적 성장 (0) | 2023.05.15 |
문자 메시지가 언어 사용과 발달에 미치는 영향 (0) | 2023.05.15 |